제4부 교육과정과 교과지도
제9장 교수적합화와 일반교과지도
제10장 점자
단점: 느린 읽기·쓰기 속도
부호의 중복 사용→난이도 발생→어느 정도의 인지능력요구
특정한 신체조건에 따라 학습이 불가능 ex)당뇨망막병증, 뇌졸중-마비
장점: 정독과 재독이 가능, 점자를 읽고 쓰는 과정에서 철자 학습 가능
▶ 기초능력
= 기초개념(같다,다르다,위치개념), 촉각변별력, 언어이해력, 상징적사고력
▶ 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점자지도 = 기능적 문해능력 습득하도록!
· 개별화 의미중심접근법: 일촉단어접근법 사용
실제 생활 기능에 필요한 어휘를 선택해 점자로 제시
점자경험환경 조성
학생의 진전에 대한 기록·점검 중시→점자를 만지며 어휘관련이야기를 만들어 직접 활동(→점자 어휘의 의미를 알게 함)
· 제시방법의 수정: 두 칸 띄어주기, 점보점자(=점 및 셀 사이의 간격 큼, 점 크기는 동일, 손가락 민감성은 이들을 위해 개발)
※ 점자지도 접근법 (Maxfeild)
· 음소 접근 방법
- 아동은 한 번에 한 음소만 확인
- 읽기의 기본 단위인 음소를 중요시 함
- 개별음소→음절→단어→문장 순 지도
· 음소-단어 접근 방법
- 빠르게 여러 개의 음소들을 만져 지각, 음소들을 결합시켜 단어를 만들도록 격려
- 음소들을 기본 단위로 가르침(음소접근방법과 유사)
- 점자쓰기가 가능해졌을 경우에 음소들을 가르침
- 개별음소→단어
· 단어 접근 방법
- 개별 음소들을 배우기 전에 단어, 절, 짧은 문장을 배움
- 큰 단위로 사고하는 습관이 형성된 후 쓰기지도
=일촉단어접근법: 손끝으로 만져지는 한 단어에 해당하는 점들을 한꺼번에 모양으로 익힘, 처음부터 정자점자보다는 약자 점자를 사용하여 지도
★점자일람표★ 확인
<자음>
- 초성 복자음 (ㄲ,ㄸ,ㅃ,ㅆ,ㅉ)은 된소리표 6점 먼저 쓰고 해당자음을 쓰면 됨
- 종성 복자음은 된소리표를 사용하지 않고, 해당 자음 기호를 순서대로 풀어쓰면 됨
- 단, 받침 ‘ᄊ’은 한 칸에 34점을 찍어서 표시
<모음>
· 모음겹글자
- 모음 ‘ㅒ= 야+애, ㅙ = 와+애, ㅞ= 워+애, ㅟ=우+애’ 로 두 칸이 소요되며 뒤에 공통적으로 ㅐ(딴이) 1235점이 붙음
· 붙임표 36점
- 초성‘ㅇ’을 생략하여 딴이(‘ㅣ’)가 사용된 것 인지 모음 ‘ㅐ’가 사용된 것인지 혼동
☞ㅑ, ㅘ, ㅝ, ㅜ 뒤에 모음 ‘ㅐ’가 이어서 올 때는 붙임표 36점을 찍어줌 ex) 위,귀 & 우애, 구애
- 모음 ‘ㅖ’는 34점으로 표기되며 받침‘ㅆ’과 같은 기호를 쓰게 되므로 혼돈 될 경우O
모음 다음에 ‘ㅖ’가 이어져 나올 경우 그 사이에 붙임표 36점을 찍어 표시함
ex) 도예 , 서예, 뭐예요, 아예
- 단! 줄바꿈 시에는 3.6점도 쓰지 않는다.
<약자>
- ‘ㅏ’ 중성 빼기 법칙의 예외
(1) 가,라,사,차 ‘가’, ‘사’는 따로 약자 제자되어 있음, 라’, ‘차’ ‘ㅏ’를 생략할 수 없고 풀어 씀
(2) 한 단어 안에서 ‘나, 다, 라, 바, 자, 카, 타, 파, 하’ 다음에 모음이 올 때는 ‘ㅏ’를 생략하지 않는다. 단! 줄이 바뀌면 생략한다.
(3) ‘팠’은 ‘폐’와 헷갈릴 수 있으므로 ‘팠’은 풀어씀
- 약자 ‘영’은 ‘ㅅ, ㅆ, ㅈ, ㅉ, ㅊ’ 다음에 ‘엉’으로 읽힌다.
- ‘까, 싸, 껏’은 각각 ‘가’, ‘사’, ‘것’의 앞에 된소리표 6점 사용하여 표기
ex) ‘껏‘=된소리 표+‘것’ /'껐'=된소리+'거'+종성‘ㅆ’ + 쌀= 된소리 표+‘사’+종성‘ㄹ’
- ‘억, 옹, 울, 옥, 연, 운, 온, 언, 얼, 열, 인, 영, 을, 은’이 약자로 쓰이는 경우에 초성 ‘ㅇ’생략
- 이중 받침이 들어간 글자에서 약자 사용이 가능 ex) ‘넋’ = ㄴ+억+ㅅ
<약어>
- 공통적으로 2칸이 소요되며 1점이 선행됨
(1) 약어 뒤에 다른 음절이 붙어 있는 경우 약어 사용 가능
약어 앞에 다른 음절이 붙어 있는 경우 약어 사용 불가능 (풀어쓰기)
ex) ‘쭈그리고’ , ‘오그리고’, ‘찡그리고’ 는 모두 풀어씀
(2) 그림을 그리고 있다 → 약어 사용 가능
<문장 부호 및 기타 부호>
- 쉼표(,)는 5점/ 수의 자릿점을 표시하는 쉼표는 2점
- 마침표, 물음표, 느낌표점은 앞 글자와 붙여 찍고, 한 칸을 띄운 다음에 뒤에 오는 글자씀.
ex) 다.√그러므로
<숫자>
- 숫자 기호는 수표 3456점을 한 칸에 찍어준 뒤, 해당 숫자를 찍어 표시
- 붙여 쓰기가 기본. 단, 숫자와 혼동될 가능성이 있는 초성 ‘ㄴ,ㄷ,ㅁ,ㅋ,ㅌ,ㅍ,ㅎ’ 와 약자 ‘운’이 뒤에 올 경우 띄어 쓴다.
- 숫자-숫자= 수표 - 숫자 - 36 - 숫자 / 숫자~숫자= 수표 - 숫자 - 36 - 36 - 수표 숫자
* 10-나, 다, 마, 카, 타, 파, 하 'ㅏ'생략 X ex) 10-나= 수표 - 1 - 0 - 36(-) - ㄴ - ㅏ
<영어알파벳>
① 국문 안에서 영어를 찍게 되는 경우 로마자 표(영어 시작표)356점, 로마자 종료표(영어종료표)256점을 사용함.
ex) love=영문자 여는표시356점 +‘l’+‘o’+‘v’+‘e’+ 닫는표시256점, cm도 마찬가지
② 국문 안에서 대문자 기호는 6점
ex) Love = 로마자 표356점 + 대문자기호 6점+‘l’+‘o’+‘v’+‘e’+ 로마자 종료표256점
단어 전체가 대문자일 경우는 대문자 기호 6점을 두 번 찍어 준 다음 해당 알파벳 씀
ex) LOVE = 로마자 표356점 +6점+6점 +‘l’+‘o’+‘v’+‘e’+ 로마자 종료표256점.
④ 로마자와 숫자가 이어 나올 때는 로마자 종료표를 사용하지 않음.

아래의 "특별한 현재쌤" 블로그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.
[특수 임용 서브] 시각장애 4. 교육과정과 교과지도 10) 점자
제4부 교육과정과 교과지도 제9장 교수적합화와 일반교과지도 제10장 점자 단점: 느린 읽기·쓰기 속도 부호...
blog.naver.com
'특수교육학 > 시각장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각장애 4. 교육과정과 교과지도 11) 방향정위와 이동성 (2) | 2024.12.11 |
---|---|
시각장애 4. 교육과정과 교과지도 9) 교수적합화와 일반교과지도 (2) | 2024.12.11 |
시각장애 3. 시각장애 아동교육 7) 보조공학과 학습환경 (4) | 2024.12.11 |
시각장애 2. 시각장애 아동의 발달과 평가 5) 교육평가(시력검사, 시야검사) (1) | 2024.12.11 |
시각장애 1. 시각과 시각장애 3) 시각장애 분류(원인과 진단) +기능적 의미 (0) | 2024.12.11 |